1.전력량계란 (WHM) Watt Hour Meter
가정용 또는 산업용에서 사용하여 소비전력량을 측정하는 계기이다.
전력량은 W(전력) = E(전압)× I(전류)×cosΦ(역율 )× t(시간) 이다.
2.전력량계 구분
상선식구분은 단상 2선, 단상3선식, 3상 3선, 3상4선 ,
전압은 220V 220/380V 110/190V , 63.5V
전류는 40(10)A 120(40)A 100(10)A 5(2.5)A등으로 나눈다.
.
1. II형 계기 : (1/20 ×정격전류) ~ (정격전류)
2. III형 계기 : (1/30 ×정격전류) ~ (정격전류)
3. IV형 계기 : (1/40 ×정격전류) ~ (정격전류)

ⓐ | 정밀도를 나타내고 2.0급이라 함은 오차율 ±2% 이내라는 의미 입니다 |
ⓑ | 품질보증기간을 표시하며 자사의 경우는 제조일로부터 30개월 입니다. |
ⓒ |
전력량계 사용량을 나타내며 만일 CT, PT 와 연결되는 변성기취부형일 경우는 이 값에
CT, PT의 배율만큼을 곱해줘야 실제 사용 전력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
ⓓ | 계량기의 상선식을 나타내며 단상 2선식, 3상 3선식, 3상 4선식 등과 같이 표기 됩니다. |
ⓔ | 각 제조사의 고유 모델명입니다. |
ⓕ | 현재 전력을 사용하고 있을 때 원판이 회전하게 됩니다. |
ⓖ | 전력량계의 정격전압, 정격전류, 주파수를 나타냅니다. |
ⓗ |
계기정수라고 하며 1kWh를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원판 회전 수를 나타냅니다. 그림의 600rev/kWh는 전력량계가 1kWh를 측정하는데 원판이 600번 회전 한다는 의미입니다.
|
ⓘ | 제조년월을 표시합니다. |
ⓙ |
전력량계에서 측정된 값은 법적인 근거로 활용되어 요금을 부과함에 따라 임의 조작을
할 수 없도록 전면 커버 및 단자 커버에 봉인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
ⓚ |
전압연결핀 또는 테스트 핀이라고도 하며 전압과 전류를 분리하며 각종 시험 시에 활용합니다.(현장 설치 사용시 : 단자와 결합, 제품 테스트 활용시: 단자와 분리)
|
ⓛ | 단자부분이며 전원측과 부하 측을 분리해서 결선을 하게 되어있습니다 |
1. 정밀도에 의한 분류
전력량계의 정밀도에는 ±2.0%, ±1.0%, ±0.5%로 표기되어있는데 이는 전력량계가 측정한 전력량의 오차범위를 나타냅니다. 즉 ±2.0%라고하면 측정한 전력량의 오차범위가 ±2.0%이내라고 보면 됩니다. 오차범위가 적을수록 고정밀 제품입니다. 500kW 미만의 수용가의 경우에는 ±2.0%의 보통 전력량계를 사용하며 500~10,000kW 범위의 수용가 에서는 ±1.0%의 정밀전력량계를 사용하며 10,000kW 이상의 수용가에서는 정밀도 ±0.5% 이내의 특별 전력량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2. 적용회로에 따른 분류

간선 방식에 따른 단상2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제품이 있다.
사용부하에 직접 연결하여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독계기와 전압이 고압일 경우나, 전류량이 전력량계가 측정 할 수 있는 범위를 넘는 경우, 계기용 변압기 PT, 계기용 변성기 CT등을 조합하여 간접적으로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성기부 계기로 나누어집니다.
3. 사용방식에 의한 분류
사용부하에 직접 연결하여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독계기와 전압이 고압일 경우나, 전류량이 전력량계가 측정 할 수 있는 범위를 넘는 경우, 계기용 변압기 PT, 계기용 변성기 CT등을 조합하여 간접적으로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성기부 계기로 나누어집니다.
4. 설치방식에 의한 분류
*표면취부형 : 건물의 벽 표면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외함 구조를 가진 가장 일반적인 제품입니다.
* 배전반 매입형 : 전력 배전반 등에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 할 수 있도록 한 외함 구조를 가진 제품입니다.
*소켓형 : 특히 미국의 ANSI규격을 따르는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단자의 결선 작업 없이 전용 Socket과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품 입니다.